요즘 웹사이트 주소 보면 대부분 ‘https’로 시작하죠?
그 ‘s’가 바로 **보안(secure)**을 의미하는 건데요,
이 보안을 가능하게 해주는 게 바로 SSL 인증서입니다.
그런데!
홈페이지를 만들거나 워드프레스를 설치했는데 주소창에
“주의 요함”, **“보안되지 않음”**이 뜬다면?
👉 SSL 인증서가 설치되지 않았다는 뜻이에요.
오늘은 초보자도 쉽게 따라할 수 있도록
SSL 인증서가 무엇인지, 어떻게 설치하는지, 무료 인증서까지!
전부 알려드릴게요 😊
💡 SSL 인증서란?
SSL(Secure Sockets Layer)은
사용자와 서버 간의 데이터를 암호화하여 안전하게 주고받도록 도와주는 기술이에요.
✅ 주소창이 https://로 시작
✅ 자물쇠 아이콘이 표시됨
✅ 개인정보, 결제 정보 등 보호
✅ 구글 검색 순위에도 도움!
📌 요즘은 SSL 없는 사이트는 신뢰도가 크게 떨어지므로
개인 블로그, 쇼핑몰, 회사 홈페이지 모두 필수 설치!
🔍 SSL 인증서 종류
SSL 인증서에도 종류가 있어요!
DV (도메인 인증) | 가장 기본적인 인증, 무료/저가 가능 ✅ | 개인, 블로그, 소규모 웹사이트 |
OV (기관 인증) | 기업 정보까지 검증됨 | 기업, 단체 |
EV (확장 인증) | 주소창에 회사명 녹색 표시 ✔️ | 금융, 쇼핑몰, 공공기관 등 |
개인 블로그나 일반 홈페이지라면 대부분 DV 인증서면 충분해요!
🛠 SSL 인증서 설치 방법 (초보자용)
✅ 1. 도메인 구입 후 웹호스팅 연결
- 먼저 도메인을 구입해야 SSL도 설정 가능
- 카페24, 고도몰, 아임웹, AWS, 워드프레스 등 사용 가능
- 도메인 → 호스팅에 연결된 상태여야 함!
✅ 2. 무료 SSL 인증서 사용하기 (Let’s Encrypt)
💡 비용 아끼고 싶다면 Let’s Encrypt 추천!
무료이고 자동 갱신도 가능해요.
설치 방법 예시 (워드프레스 + CPanel 기준):
- 호스팅 관리자 페이지(CPanel) 접속
- “Let’s Encrypt SSL” 또는 “보안” 탭 선택
- 설치할 도메인 선택 → 설치 클릭!
- 몇 분 내로 자동 적용
✔️ 설치 후 주소창이 http → https로 바뀌는지 확인!
✅ 3. 유료 SSL 인증서 구매 및 설치
보다 강력한 인증(OV, EV 등)이 필요하다면
SSL 인증서 구매 후 설치해야 해요.
구입처 예시:
- [Comodo, Sectigo, DigiCert, GeoTrust 등]
- 국내: 카페24, 가비아, 호스팅케이알 등
설치 방법은 다음과 같아요:
- 인증서 구입 및 CSR 코드 생성
- 인증서 발급 → 서버에 업로드
- 웹서버(Apache, Nginx 등) 설정 수정
- 재시작 후 https 적용 확인
💡 초보자라면 구매처에 설치 대행 요청하는 것도 방법이에요.
🧪 설치 후 확인 방법
SSL이 제대로 적용되었는지 확인하려면?
🔗 https://로 접속해보기
🔒 주소창 자물쇠 확인
🧪 https://www.sslshopper.com/ 같은 검사 사이트 이용
🤔 SSL 미설치 시 문제점?
❌ 사용자 경고 메시지 → 신뢰도 하락
❌ 개인정보 유출 위험
❌ 크롬/사파리에서 접속 차단될 수 있음
❌ 검색 노출 순위 불이익 (SEO 영향 있음)
→ 사이트를 운영할 생각이라면 SSL은 필수입니다!
📦 보너스: 무료 인증서 발급 사이트 정리
Let’s Encrypt | 전 세계에서 가장 많이 사용하는 무료 SSL |
Cloudflare SSL | CDN + SSL 동시에 가능 (속도 향상도!) |
ZeroSSL | 90일 무료 / 이후 유료 전환 가능 |
✅ 마무리하며
SSL 인증서 설치는
이제 선택이 아닌 웹사이트 운영의 기본 조건이 되었습니다.
처음에는 어렵게 느껴질 수 있지만,
무료 인증서도 많고 자동 설치 기능도 잘 되어 있으니 걱정 NO!
📌 꼭 https:// 주소로 안전한 웹사이트를 운영해보세요!
궁금한 점이나 설치하다 막히는 부분이 있다면
댓글 남겨주시면 도와드릴게요 😊